광고
광고

신약개발에서 임상 적용까지…‘R&D 스펙트럼’ 관심

신장학회, R&D 세션 진행…연구 결과 산업화 방안 모색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21/09/09 [08:53]

신약개발에서 임상 적용까지…‘R&D 스펙트럼’ 관심

신장학회, R&D 세션 진행…연구 결과 산업화 방안 모색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1/09/09 [08:53]

【후생신보】  연구 결과물이 실제 사용되기 위해서는 산업화가 필요하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논문 성과에만 머물지 않고 산업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신장학회 ‘KSN2021’에서 처음 시도된 R&D 세션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특히 신약 개발부터 의료기기 개발, 나아가 새로운 개념의 치료법을 개발해 임상에 적용하려는 시도까지 다양한 R&D의 스펙트럼이 소개돼 참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 왼쪽부터 하헌주 교수, 김동기 교수, 우응제 교수.

첫 번째 연자인 이화여대 약학대학 하헌주 교수는 당뇨병성 신병증 치료제 ‘APX-115’의 개발과정부터 임상 시험 진행까지의 신약 개발의 경험에 대해 강연을 했다.

 

현재 1상을 거쳐 2상 임상시험까지 마친 상황으로 그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하 교수는 “기초연구자와 임상 연구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업과 함께 연구의 결과를 인내심 있게 기다려줄 수 있는 기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연자인 서울의대 김동기 교수는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인 ‘지속적 신대체요법 기기 및 필터 국산화 사업의 진행 상황’을 공유했다.

 

지속적 신대체요법은 중환자 진료에 반드시 필요한 의료기기이고 특히 COVID-19 등 재난적 상황에서 사용 빈도가 더욱 증가하고 있음에도 전량 외국에서 생산된 기기와 필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국산화를 위해 시작했다.

 

김동기 교수는 현재 시작품을 지나 시제품 제작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형동물 실험으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세 번째 연자인 로킷헬스케어 조현우 부장은 4D 바이오 프린팅 기술, AI, 자가 바이오 잉크 기술을 융합해 재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신장 조직에 대한 재생 치료의 가능성에 대해 강의했다.

 

자가 omentum 패치를 이용해 신장의 재생 치료가 가능하다는 동물 실험 결과를 보여주었고 자가 조직을 이용하는 치료이므로 조속한 시간 내에 임상시험으로 넘어 갈 수 있다는 기대를 받고 있다.

 

경희의대 우응제 교수는 생체징후가 불안정해질 수 있는 혈액 투석 환자에서 투석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저혈압 상황을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기술을 이용해 예측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이러한 기술은 조금 더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지속적 신대체요법을 시행 받는 환자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적용 범위가 매우 넓은 기술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세션을 기획한 경희의대 이상호 교수는 “R&D 세션의 연제들이 많은 신장학 연구자들에게 좋은 정보와 함께 더 많은 연구의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