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당뇨환자 질내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치료 필요
폐경 여부·약물 치료·칸디다 감염,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복용 따라 미생물 생태계 달라 부천성모병원 김민정 교수팀, 건강한 여성 비해 질내 유익균 비율 현저히 낮고 유해균 증가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5/07/01 [09:25]
【후생신보】 당뇨병 여성은 건강한 여성에 비해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이 현저히 낮아지고 변화되어 치료 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민정 교수팀(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명신 교수,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승옥 교수)은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여성 71명과 건강한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질내 미생물 상태를 분석, 폐경 여부, 칸디다 감염 유무,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SGLT2) 억제제 복용 여부에 따라 당뇨병 여성은 건강한 여성에 비해 질내 유익균 비율이 현저히 낮고, 반대로 유해균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왼쪽부터) 김민정 교수 김명신 교수 이승옥 교수
|
당뇨병 여성은 건강한 여성에 비해 질내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비율이 현저히 낮았고 유해균 및 혐기성 세균이 상대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폐경 이후에는 유익균 중심의 군집(CST I)이 감소하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는 군집(CST IV)이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칸디다 감염이 있는 경우에도 유익균 비율이 감소하고 유해균 비율이 증가하여 균형이 깨진 마이크로바이옴 상태를 보였다.
또한 혈당강하제인 SGLT2 억제제를 복용한 폐경전 여성에서 유익균 보호 효과를 보인 반면, 폐경후 여성에서는 급격한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의 균형이 깨짐을 확인했다.
▲ 당뇨병vs건강 질내 미생물군집 비교 = 당뇨병 여성의 경우 유익균은 줄고 유해균 및 혐기성 세균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폐경에 칸디다 감염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서 락토바실러스가 고갈되고 혐기성 균이 많은 상태인 빨간색 CST Ⅳ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CST I(파란색,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우세), CST II(주황색,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우세), CST III(녹색, 락토바실러스 이너스 우세), CST IV(빨간색, 락토바실러스 고갈, 혐기성 균 풍부), CST V(보라색, 락토바실루스 젠세니 우세), 혼합형(회색, 유익균 저하).
|
김민정 교수는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는 감염, 염증, 부인과 질환과 직결되며 특히 폐경기나 당뇨병 상태에서는 그 영향이 더욱 커진다”며 “당뇨병이 있는 여성에서 혈당 관리와 함께 마이크로바이옴까지 포함하는 통합적 여성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수팀의 연구는 국제 학술지 마이크로오가니즘(Microorganisms, IF 5.1, 2025년 6월 25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뇨병 여성, 마이크로바이옴, 부천성모병원, 김민정 교수 관련기사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