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신경발달장애 원인 유전자 ‘HDAC3’ 변이 새롭게 규명

히스톤 탈아세틸화 활성 저하·단백질 복합체 형성 저해·핵 내로 이동 저하 초래
서울대병원 채종희 교수팀, 치료 가능성 제시…환자들에 새로운 희망 제공 기대

이상철 기자 kslee@whosaeng.com | 기사입력 2024/08/16 [14:00]

신경발달장애 원인 유전자 ‘HDAC3’ 변이 새롭게 규명

히스톤 탈아세틸화 활성 저하·단백질 복합체 형성 저해·핵 내로 이동 저하 초래
서울대병원 채종희 교수팀, 치료 가능성 제시…환자들에 새로운 희망 제공 기대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4/08/16 [14:00]

【후생신보】  국내 연구진이 희귀 유전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새롭게 발굴해 신경발달장애와 관련된 ‘HDAC3’ 유전자의 변이를 규명했다.

 

특히 이번 연구는 희귀 유전질환 환자들이 겪는 진단 방랑을 줄이고 보다 정확한 유전자 진단과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신경발달장애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왼쪽부터) 채종희 교수 이철환 교수 임성균 연구원 윤지훈 교수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팀(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윤지훈 교수, 서울의대 약리학교실 이철환 교수·임성균 연구원)은 HDAC3의 변이와 신경발달장애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지난 10년간 서울대어린이병원 희귀질환센터를 방문한 2,5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장엑솜시퀀싱 데이터를 재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채 교수팀은 환자와 부모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HDAC3 유전자에서 2명의 환자에게 신생 돌연변이(de novo 변이) 2가지를 발견했다.

 

HDAC3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라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로 이 유전자의 변이가 신경발달장애와 관련 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채 교수팀은 국내 2명의 환자 외에도 영국과 미국의 협력 연구진과 함께 4명의 추가 환자를 찾아내 최종적으로 6명의 환자에서 HDAC3 유전자에 6가지 신생 돌연변이가 존재함을 확인했다. 이처럼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희귀한 사례들을 모아 분석함으로써 희귀 유전질환의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채 교수팀은 이러한 돌연변이들이 HDAC3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 내 실험, 세포 실험, 단백체 분석 등을 진행한 결과, 이 돌연변이들이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의 활성 저하(66%), 단백질 복합체 형성 저해(100%), 그리고 핵 내로의 이동 저하(75%)를 초래해 신경발달장애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 연구 결과 요약 = HDAC3 유전자에 발생한 6가지 신생 돌연변이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의 활성도 저하, 단백질 복합체 형성의 저해, 핵으로의 이동 저하 등과 같은 기능적 결함을 초래해 다양한 신경발달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입증.

 

특히 이번 연구는 HDAC3 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발달장애의 병리학적 매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한 중요한 연구로 HDAC3 유전자가 인간의 생리적 기능과 질병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채종희 교수는 “어린이들의 심한 발달장애를 초래하는 희귀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밝혀내는 일은 환자와 부모의 진단 방랑을 줄이고 가족의 미래 자녀 계획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가 희귀 유전질환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철환 교수와 임성균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HDAC3 변이의 병리학적 매커니즘을 이해함으로써 신경발달장애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할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신경발달질환의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지훈 교수는 “희귀 유전질환의 신규 원인 유전자를 규명하는 일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희귀한 사례들을 모아 유전체를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완성되는 어려운 작업”이라며 “이번 연구가 아직 질환의 정체를 규명하지 못한 많은 환자들에게 새로운 진단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유전자 기반 맞춤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채 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유전학 분야 최고 저널인 ‘미국 인간유전학 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최신호에 게재됐다.

 

한편 희귀질환은 개별적으로는 매우 드물지만 전체 인구의 약 5~6%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질환군이다. 지금까지 약 6,000~7,000개의 희귀 유전질환 원인 유전자가 밝혀졌으나 여전히 많은 유전질환의 원인이 미확인 상태로 남아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신경발달장애와 같은 복합 발달질환의 원인 유전자를 발굴하는 것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