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극미량 코로나 변종까지 수초 내 감지한다

분당서울대병원 한호성 교수팀, 압타머 기반 멀티 바이오센터 개발
속도 효소면역측정법의 1000배…민감·특이도는 10fM 농도까지 검출

이상철 기자 kslee@whosaeng.com | 기사입력 2024/08/08 [08:57]

극미량 코로나 변종까지 수초 내 감지한다

분당서울대병원 한호성 교수팀, 압타머 기반 멀티 바이오센터 개발
속도 효소면역측정법의 1000배…민감·특이도는 10fM 농도까지 검출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4/08/08 [08:57]

【후생신보】  극미량의 코로나 변종까지 수 초내에 감지하는 압타머 기반 바이오센서가 개발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외과 한호성 교수(교신저자)팀(김상태 수석연구원, 진단검사의학과 박정수 교수)은 수초 만에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및 수십 종의 변이체를 진단할 수 있는 멀티 바이오센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 (왼쪽부터) 한호성 교수 박정수 교수 김상태 수석연구원

 

압타머(WQCSA Wooden Quoit conformation structural Aptamer)를 반도체 칩에 접목,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환자의 타액, 콧물, 땀, 뇨로부터 수초 내에 다양한 항원을 검출하는 비표지식 멀티 바이오센서를 개발한 세계 최초의 사례다.

 

한 교수팀이 개발한 바이오센서 시스템은 기존 항체 기반 신속진단키트나 ELISA(효소면역측정법) 분석법보다 1,000배 이상 신속하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아 극미량의 항원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자체 제작한 압타머(WQCSA)는 다양한 항원을 구조적인 형태로 인식하도록 디자인돼 수십 종의 변이체를 탐지 가능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다양한 변종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감염병 진단에는 항체와 항원 반응을 이용한 현장용 신속진단키트 및 실험실 기반의 고가의 PCR(유전자증폭검사), ELISA 등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지속적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변이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식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한 교수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변이체를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탐지하는 센싱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압타머(aptamer)’를 사용했다.

 

압타머는 특정 분자에 결합하는 물질로 항체처럼 표적분자에 높은 친화력과 특이성을 갖고 결합해 ‘화학 항체’로 불리는데 단일 부위에 결합하는 항체와 달리 표적 단백질의 3차원적 형체를 인식해 항체보다 표적에 대한 선택성이 높으며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쉽다.

 

한 교수팀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은 환자 60명의 검체를 사용해 주요 항원인 스파이크, 뉴클레오캡시드 및 다른 항원들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Wooden Quoit 모양의 압타머를 제작하고 이를 화학적 처리를 거친 유리기판에 고정시킨 후 전류를 흘려보내는 방식으로 ‘전기용량’을 측정해 항원의 검출을 확인하는 바이오센싱 시스템을 완성했다.

 

한 교수팀은 개발한 바이오센서를 통해 검사를 진행한 결과, 다양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체를 10펨토몰(fM) 농도까지 검출하며 높은 민감도와 특이성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체내 물질의 농도는 ‘몰(mol)’ 단위로 나타내며 펨토몰은 1,000조분의 1몰을 뜻한다.

 

▲ 바이오센서 시스템 모식도 = 자체제작 압타머 ‘WQCSA(Wooden Quoit conformation structural Aptamer)’를 반도체 칩에 접목시킨 후,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환자의 타액, 콧물, 땀, 뇨로부터 수초 내에 다양한 SARS-CoV-2 항원을 검출하는 멀티 바이오센서 시스템을 개발했다.

 

한호성 교수와 김상태 수석연구원은 “압타머의 유연한 구조적 결합을 기반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수십 종의 변이체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다중항원 멀티 바이오센싱 기술”이라며 “저렴하고 신속하게 변이체 항원까지 검출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진단 도구로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정수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멀티 바이오센서 시스템은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전염병 확산을 막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한 교수팀의 연구는 분석화학 분야의 권위있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센서 앤 바이오일렉트로닉스(Biosensors&Bioelectronics, IF=13.39)’에 게재됐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 변종, 압타머, 바이오센서, 분당서울대병원, 한호성 교수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