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소아응급환자 포기한 것인가, 버린 것인가?”
아동병협, 소아응급의료대책 ‘생색용’ 드러난 것…대책 시급 최용재 회장 “지방 응급실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 마련을”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4/05/23 [10:08]
【후생신보】 응급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중인 전국 40 여개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의사 상주 규정이 없는 것과 관련, 대한아동병원협회가 정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최용재 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는 23일 “현재 응급 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상주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안다”며 “이는 소아응급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황실 의사의 범위에 소아청소년과를 포함시켜 상주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른 대책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동병협은 정부는 응급환자 전원 업무를 지원하는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의 급박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상황실 의사를 응급의학과·내과·외과 전문의로 규정하고 있지만 소아응급환자를 위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사가 상황실 의사 범위에서 빠져 있다. 이는 정부가 강조하고 소아 응급실 뺑뺑이 보도시마다 언론에 발표한 소아응급의료 대책이나 소아의료 대책을 무색하게 만들는 꼴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대형병원 응급실에 소아 응급 환자 내원 시 배후 진료로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반드시 있어야 입원이나 이송 등 진료 결정을 내리는데 정부가 운영 중인 전국 광역상황실에 소아청소년과 상주 규정이 없는 것은 정부 스스로가 소아응급환자를 포기했거나 버린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갈 정도라고 강조했다.
최용재 회장은 “전국 40여개 광역상황실은 상황요원 2~4명과 상황실 의사 1명이 조를 이뤄 24시간 운영되고 있다”며 “소아응급환자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살피지 못하는 현실은 허약한 소아응급의료체계로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소아응급환자를 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최 회장은 “아무런 대책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 환자가 아동병원을 내원할 시 신속 대처 등 어려움과 불가항력적 의료 사고 부담감 등이 많아 소청과 공백에 따라 이송을 비롯한 소아 응급 진료의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며 “아동병원은 대학병원과 달리 응급실이 없는데도 어쩔 수 없이 구급대원에 의해 소아응급환자가 아동병원에 내원하고 있으며 이같은 빈도는 점차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 더욱 빈도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기관과의 대응 매뉴얼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 회장은 “정부의 지원책 미비로 소청과 전문의의 탈 소청과화와 소청과 전공의 기피 현상이 심화돼 지방 응급실마다 소청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렵다”며 “지방 응급실의 소청과 전문의 확보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거듭 제안했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