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건강보험 청구액 선지급 등 특단조치 필요

상급종합병원협읭회 한승범 회장 “상급종병은 당장 심폐소생술 필요한 상황”

문영중 기자 | 기사입력 2024/05/09 [09:32]

건강보험 청구액 선지급 등 특단조치 필요

상급종합병원협읭회 한승범 회장 “상급종병은 당장 심폐소생술 필요한 상황”

문영중 기자 | 입력 : 2024/05/09 [09:32]

【후생신보】전공의 부재로 인한 상급종합병원들의 어려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급기야 경희대의료원의 경우 어려움이 극에 달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공론화되기도 했다. 경희대의료원도 그렇지만 다수 사립대병원들이 비슷한 처지에 놓여 있다는 건 공공연한 비밀이다.

 

이런 가운데 상급종합병원에 대한 ‘건강보험 청구액 선지급, 학교법인 기채 승인 등 특단의 대책이 당장 나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9일, 고대 안암병원장인 한승범 상급종합병원협의회 신임 회장<사진>은 “상급종합병원은 현재 존폐가 불투명한 위기 상황으로 환자로 치면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다”라며 이 같이 요구했다.

 

정부의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방침이 발표되자 전공의들은 현장을 떠났다. 전공의들의 부재는 한 달 넘게 이어지고 있다. 의대 교수들도 주 1회 휴진을 선언하는 등 강경 모습으로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가 수련병원에 당직비를 포함한 인건비 일부와 군위관․공중보건의 파견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사태 장기화로 교수들의 피로감은 극에 달하고 있고 병원 자체의 누적 적자도 임계점을 향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희대의료원만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이로 인해 조만간 병원 직원들의 급여조차 못 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현실이 돼 가고 있는 것.

 

한승범 회장은 “현재 대한민국 필수의료의 위기는 사실상 상급종합병원의 위기”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장기 계획을 포함하는 청사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협의회는 먼저, 위기의 실체를 정밀히 분석하고,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기 위해 의료계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의 다양한 전문가와 협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또한 정부, 의료계, 학계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포괄적인 대화의 장도 조성할 예정이다.

 

한승범 회장은 “상급종합병원의 연구 및 혁신 역량을 강화하고,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의료 기술의 선진화와 글로벌 의료 커뮤니티 내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회원 병원 간 협력을 강화하고 정부 및 관계 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상급종합병원협의회 목소리가 충분히 전달되고 반영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