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충북오송 바이오 소부장특화단지 지정

과기부 원부자재 등 필수 바이오 소부장 강화

윤병기 기자 yoon70@whosaeng.com | 기사입력 2023/07/21 [09:04]

충북오송 바이오 소부장특화단지 지정

과기부 원부자재 등 필수 바이오 소부장 강화

윤병기 기자 | 입력 : 2023/07/21 [09:04]

【후생신보】 충북 오송지역이 바이오 소부장 특화단지로 추가 지정됐다.

 

2021년 2월 5개 분야 소부장 특화단지를 최초 지정한 이후 2년 6개월 만에 5개 특화단지가 추가 지정된다.

 

지난 20일 개최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 (위원장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부위원장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서 미래차, 바이오 등 신산업 분야로 지정대상을 확대하고 미래차광주, 미래차대구, 바이오충북 오송, 반도체부산, 반도체경기 안성 등 5개 특화단지를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금번 특화단지 조성에 약 6.7조원의 기업 신규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충북오송(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광주(미래차, 자율주행차 부품), △대구(미래차, 전기차 모터), △부산(반도체, 전력반도체), △경기안성(반도체, 반도체장비)

 

바이오 분야 특화단지는 코로나19 이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백신 등 의약품 제조공정(배양→정제→완제)에 필수적인 원부자재 자립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반도체 특화단지는 반도체 장비, 전력반도체 등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추진한다.

 

충북 오송지역은 백신 제조용 바이오 원자재 생산 특화단지 조성 1조 6,000억원 투자된다.

 

LG화학, 대웅제약, GC녹십자 등 주요 수요기업과 바이오원부자재 관련 약 70개 소부장 기업 위치(약 1.6조원 투자예정)있다.

 

정부는 특화단지 생태계 조성을 위해 수요-공급기업간 공동 R&D, 테스트베드, 사업화 등 기술자립과 국내복귀 기업지원, 지방투자 등 단지 내 기업유치를 지원하고, 특화단지별 추진단을 구성하여 규제개선과 기업 건의사항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5개 신규 소부장 특화단지가 국내 소부장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상호보완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이창양 장관은 “오늘 지정된 특화단지들이 우리 경제의 강력한 성장엔진이 될 수 있도록 각종 인허가, 인프라, R&D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지난 6월 신설된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센터」를 활성화하고 올해 하반기에 「산업공급망 3050 정책」을 수립하여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