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통합 바이오 육성정책이 한국의 미래 좌우오일환 가톨릭대 의대 교수, 산업 육성 콘트롤타워·규제과학·인력 양성 강조【후생신보】범부처 차원의 통합적 바이오 육성정책을 마련하는 것은 미래 한국의 모습을 좌우할 핵심적인 과제가 될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오일환 가톨릭 의대 교수(중앙약사심위위원장)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가 15일 발간한 ‘2022 새 정부에 바란다’라는 제하의 제23호 정책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오 교수는 “바이오산업의 발전은 한국이 진정한 선진국형 산업구조에 진입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바로미터이고, 한국이 추구해야 할 가장 큰 전략적 성장산업이 바이오 의약품 산업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근거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비롯해 2022년 제조업 기준으로 국내 GDP 대비 4-5%까지 도달, 정부의 바이오헬스산업 투자이 지속 증가해 5년전 1조 수준이던 것이 올해 2조에 도달한 점, 민간투자 역시 연 1조원 이상 이뤄지고 있는 점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한국 바이오 산업의 이러한 성장세를 국가경쟁력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한국 바이오 산업구조의 인프라를 잘 다듬는 것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연구개발 콘트롤타워가 각 부처별로 구분되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기초연구 지원사업중 후속연구에 진입하는 비율이 10.7% 수준에 머물고 있어, 통합 연계형 사업으로 발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인력 부족 문제도 꼬집었다. 성장기에 접어든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투자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데 비해, 연구개발을 수행할 인력은 그만큼 늘어나지 못했다고 봤다. 2019년 조사에서도 이미 바이오 기업의 인력난을 체감한 기업이 88%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었고, 2018년 분석에서도 2020년도 에는 바이오 의학 분야의 기술인력 수급 전망이 –200% 라고 보고한 바 있는데, 그것이 그대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과 관련해 오 교수는 “새 정부에서는 이제 타오르기 시작하는 바이오 산업의 불씨를 꺼뜨리지 않기 위해서라도 범 부처 콘트롤타워의 운영을 통해, 미래 한국의 경쟁력을 위협하고 있는 인력위기에 대한 대책을 세워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규제시스템의 낮은 효율도 개선과제로 조명했다. 오 교수는 전통적 관점의 규제과학은 저분자 물질 위주의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준으로 체계화 되어왔기 때문에 새로운 신기술 기반의 제품에는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가톨릭의대 오일환 교수, 새정부에 바란다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