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좌담회/심포지엄
Doctor's CME
의료정책
의료단체
학회/학술
병·의원
제약
의료기기
동정
인터뷰
해외
건강정보
Webinar Highlight
편집
2021.04.16 [13:27]
후생신보
(
998
건)
박스형
요약형
COVID-19 시대의 알레르기 비염,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20210323)
COVID-19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이런 상황에서 비슷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알레르기 비염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알레르기 비염이 COVID-19의 발...
2021.04.14 13:45
후생신보
노인 우울증 치료제로서 duloxetine의 활용(20210305)
‘노인 우울증(elderly depression)’ 외에도 ‘geriatric depression’, ‘late-life depression’, ‘late-onset depression’ 등의 다양한 용어가 쓰이고 있다. 대부분 60세를 기준으로 하고...
2021.04.13 12:24
후생신보
혈우재단 황태주 이사장 섬김의 리더십 10년 마침표
【후생신보】 섬김의 리더십을 근간으로 과거 10여 년 동안 한국혈우재단을 이끌어 왔던 황태주 이사장(전남대병원)이 이달 이사장직에서 물러났다. 황태주 이사장은...
2021.04.13 11:12
후생신보
06_내 몸속 미생물 분석을 통한 건강관리
마이크로바이옴이란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의 합성어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들의 총합을 의미하며 인체의 ...
2021.03.24 09:32
후생신보
별아교세포종 환자가 4차례 수술을 받았으나 치료 중 사망한 사례
망인(1960년생)은 기저질환이 없던 사람으로서 2015. 5. 31.경부터 술에 취한 사람처럼 운전하고 말수가 줄고 잠을 많이 자며 멍한 상태로 있는 모습이 보여, 같은 해 6. 4. ...
2021.03.22 09:41
후생신보
당뇨발 감염 수술 후 악화되었던 패혈증의 영향으로 당뇨병과 신장 및 심장질환 등의 기저 질환이 악화되어 환자가 사망한 사례
망 □□□(1930년대 생)은 2016. 1. 7개월 전부터 발생된 오른쪽 발가락의 괴저로 피신청인1 병원외래에 내원한 후 2016. 2. 오른쪽 발가락의 분비물 증가로 피신청인1 병원에...
2021.03.22 09:38
후생신보
응급환자의 전원 조치가 지연되어 환자가 사망한 사례
신청외 망 ○○○(1930년대 생)은 2016. 2. 4. 8일 전 넘어진 후 발생한 좌측 발목 통증을 주소로 피신청인이 운영하는 □□병원에 내원하여, 같은 날 좌측 발목의 양 복사뼈...
2021.03.22 09:33
후생신보
강직성 척추염 치료 새 강자 IL-17A 억제제 ‘탈츠’
강직성 척추염 치료에 있어서 최근 인터루킨-17A(IL-17A) 억제제인 릴리의 ‘탈츠’(성분명 익세키주맙)가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등장하면서 관심을 끌고 있다. 건선성 관...
2021.03.17 08:54
후생신보
약물에 의한 위장관 증상 완화를 위한 trimebutine의 활용
2020년 12월 16일(수) Samil Polybutine E-Symposium 연자 백창렬 교수(성빈센트병원 소화기내과)...
2021.02.22 15:39
후생신보
의료기기 신제품 허가 및 평가 개선 방안(20210127)
새로운 의료기기가 보험에 등재되기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해 허가를 받고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심사를 거쳐 신의료기술로 할 ...
2021.02.22 11:16
후생신보
척골신경에 SETS(Supercharged End-to-side) 방법으로 시행한 신경봉합술 인정여부 및 심사적용 방법(2사례)
손목부위에 SETS(Supercharged End-to-side) 방법으로 시행한 정중신경-척골신경 봉합술은 ‘자460-1다 신경봉합술-중요말초신경 [사지부,구간등]’ 100%를 인정하고, Guyon’s cana...
2021.02.22 10:03
후생신보
소아에서 요도하열성형술과 동시에 시행한 음경음낭전위교정술 및 음경성형술 인정여부(2사례)
제출된 진료기록부, 전문가 및 학회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A사례는 요도하열성형술(음경부)과 음경성형술은 인정하고 요도하열성형술(삭대절제)은 인정하지...
2021.02.22 10:00
후생신보
척추고정술 시행, 고정핀에 의한 감염으로 뇌수막염 발생 후 의식혼미 상태에 빠진 사례
신청인(1940년대생)은 2016. 8. 11. 걸어가다가 넘어진 후 흉요추부 통증이 발생하였고 같은 달 25.경 OOO정형외과의원에서 제10, 11 흉추 압박골절 및 흉골 골절 진단을 받아...
2021.02.22 09:48
후생신보
우 발목골절, 연골손상 등으로 수술 후 불유합 등 발생한 사례
피신청인(1950년대생)은 2016. 12. 30. 신청인 ○○병원에 우측 발목 통증,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여 영상검사 후 우측 족관절외상성 골성 관절염, 우측 족관절 외측 및 내측...
2021.02.22 09:44
후생신보
요추 협착증, 요추전위증에 대한 경피적경막외강 풍선확장 신경유착박리술 후 허리 통증이 계속된 사례
신청인(1950년대생)은 2017. 11. 25. 1~2개월 전 악화된 좌측 요통으로 피신청인 ○○병원에 내원하여 11. 26. 요추 MRI 촬영 후 4-5 요추간 협착증, 4 요추전위증 진단으로 11. 30...
2021.02.22 09:40
후생신보
골수염 진단 하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응급처치 미흡으로 사망한 사례
신청외 망 OOO(1940년대생)은 2015. 6. 14. 양측 무릎 통증을 주소로 피신청인이 운영하는 ○○병원에 내원하여, 좌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및 아급성골수염 등의 소견을 받고...
2021.02.22 09:37
후생신보
손목 골절에 2차례의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불유합이 발생한 사례
신청인은 넘어지면서 발생한 오른쪽 손목의 통증을 호소하며 피신청인 병원에 내원하여 전위를 동반한 우측 요골, 척골 간부 골절 진단하에, 관헐적 정복술 및 금속판...
2021.02.22 09:30
후생신보
05_ 내 세포에 맞는 표적 치료법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CoV)으로 전세계에서 8,096명의 추정환자와 774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난 2015년엔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Co...
2021.02.17 09:00
후생신보
골다공증
세계보건기구(WHO)는 골다공증을 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질환으로 결과적으로 뼈가 약해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 질...
2021.01.20 14:13
후생신보
약물에 의한 위장관 증상 완화를 위한 trimebutine의 활용(20201216)
다양한 약물을 처방하다 보면 그로 인한 다양한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우선 강의에 앞서 기질성 질환(organic disease)와 기능성 질환(functional disease)에 대해 살펴...
2021.01.19 13:45
후생신보
더보기 (978)
1
2
3
4
5
6
7
8
9
10
50
전송
여러단어검색
전체검색
섹션전체
최근날짜부터
Photo News
혈우재단 황태주 이사장 섬김의 리더십 10년 마침표
상계백병원, 노원구 아동학대전담의료기관 지정
코로나 영웅 간호사들, ‘제5회 민주주의자 김근태상 ’수상
많이 본 기사
1
대웅제약, 코로나 치료제로 개발중인 2개 성분 변이에도 효과
2
한국아스텔라스제약, 직원 40% ERP 중
3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19 백신 12일부터 재 접종
4
[단독] 아스트라제네카 · 화이자 코로나 19 백신 ‘과다월경’ 이상반응
5
에스엠티바이오, 임상2상 중간결과 미국 암학회 발표
6
대웅․휴젤 이어 휴파마도 ‘똑똑’ 美 시장 노크
7
[단독]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 '부정출혈' 논란
8
헴리브라, 훼이바․노보세븐 비해 차별 당해
9
비타민 D, 과다섭취하면 역효과
10
“의료기기, 3대 바이오헬스산업 핵심으로 성장시키겠다”
최신기사
오진으로 아킬레스건 완전파열의 조기치료 기회를 상실한 사례
우측 견관골 인공관절 치환술 후 상완 신경 마비증상이 지속된 사례
좌측 수부 신경종을 제거한 후 신경손상이 발생한 사례
좌 반달연골 파열 진단 하 수술 후 통증 악화로 좌 슬관절 인공관절 부분 치환술 시행한 사례
고령환자의 기능성 위장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