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정부․공공기관, 병원급 의료기관 역차별

최도자 의원, ‘몽골 사후관리 센터 구축 및 시범사업’ 사업자 종병 이상 한정

문영중 기자 | 기사입력 2017/10/16 [15:39]

정부․공공기관, 병원급 의료기관 역차별

최도자 의원, ‘몽골 사후관리 센터 구축 및 시범사업’ 사업자 종병 이상 한정

문영중 기자 | 입력 : 2017/10/16 [15:39]
【후생신보】병원급 의료기관이 전문병원 타이틀을 획득하고 외국인 환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정작 정부와 공공기관은 병원급 의료기관을 차별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 의원(국민의당)에 따르면, 지난 9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몽골 사후관리센터 구축 및 시범사업’의 사업자 선정과정에서 사업을 총괄하는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으로 한정, 병원급 의료기관들의 눈총을 받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국내서 치료받은 몽골인은 약 1만 6,000여명 정도로 주로 내과·외과·정형외과 등의 치료를 받고 되돌아갔다. 하지만 귀국 후 적절한 사후관리가 안 돼 문제로 지적됐다.

때문에 지난 정부때부터 사후 관리 문제를 논의했다. 보건복지부와 몽골 보건체육부가 지난해 7월 ICT 기반 의료기술 협력을 체결하고 몽골인 사후관리 서비스를 강화키로 한 것이다. 실제로 복지부는 「ICT 기반 의료시스템 진출 시범사업」 일환으로 ‘몽골 사후관리센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보건산업진흥원이 사업을 관리하고 있다.

보건산업진흥원 공고문에 따르면, ‘몽골 사후관리센터 시범사업’의 모집대상은 의료기관(총괄사업자), ICT 업체, 수혜기관의 컨소시엄 형식으로 돼 있다. 총괄사업자는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으로 제한돼 있고, 수혜기관은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는 의료기관으로 돼 있다. 즉,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은 총괄사업자에는 참여할 수 없고 수혜기관으로만 참여가 가능한 상황이다.

현재 병원급 의료기관 중 111개 병원들은 전문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12개 질환과 8개 진료과목을 특화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이들 중 상당수의 병원들은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 수년 간 공을 들여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가 전문병원을 지정하고 중소형 병원들의 살 길을 모색해 주고 있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규모가 큰 종합병원에게만 특혜를 주고 전문병원은 들러리를 세우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진흥원은 이러한 차별 문제에 대해 병원급 의료기관도 수혜기관으로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종합병원 이상급 의료기관에게 특혜를 주는 것은 아니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계에서는 실제 시범사업이 추진되면 병원급 의료기관의 역할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최도자 의원실이 진흥원에 확인한 결과, ‘몽골 사후관리센터 시범사업’에서는 상급종합병원인 강남성모병원과 한양대학교병원 중 한 곳이 총괄사업자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각에서는 종합병원도 들러리였던 게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되고 있다.

최도자 의원은 “정부가 전문병원과 같은 병원급 의료기관을 홀대한다면 중소병원들의 살길은 앞으로 더욱 막막할 것이다”라며 “외국인 환자 유치 및 외국인 환자 사후관리에 중소병원들의 역할을 늘려야 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