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다발골수종 병기 평가 新 MRI 점수모델 개발

서울성모병원 정준용 교수팀, MRI 점수 높으면 국제병기분류 병기도 높아…임상 효용성도 입증

이상철 기자 kslee@whosaeng.com | 기사입력 2023/10/05 [10:13]

다발골수종 병기 평가 新 MRI 점수모델 개발

서울성모병원 정준용 교수팀, MRI 점수 높으면 국제병기분류 병기도 높아…임상 효용성도 입증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3/10/05 [10:13]

▲ 정준용 교수                                            김동균 교수

【후생신보】  다발골수종 병기 평가하는 새로운 MRI 점수모델이 개발됐다. 전신 MRI 점수가 높으면 국제병기분류 체계의 병기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임상적 효용성을 함께 입증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영상의학과 정준용 교수(교신저자)팀(김동균 제1저자, 혈액내과 민창기·박성수 공동저자)은 ‘다발골수종 환자를 위한 전신 MRI 영상 기반의 반정량적 점수 시스템의 개발’ 논문을 북미영상의학회(RSNA)가 발간하는 영상의학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술지 'Radiology' (Impact factor 19.7) 9월호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백혈병과 함께 대표적인 혈액암인 다발골수종은 과거에 명백한 치료법이 없고 치료 부작용도 많아 진단 기준이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다발골수종 치료법이 크게 발전되었고 증상이 없는 고위험군 환자를 선별해 치료하면 생존율이 올라간다는 연구결과에 따라 초기 정확한 병기진단이 중요해졌다.

 

특히 최근 국제골수종연구그룹의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MRI 영상에서 발견한 국소병변이 다발골수종의 새로운 진단기준으로 포함되면서 MRI 검사가 필수가 되었다. 새롭게 개발된 MRI 점수 모델이 임상에 적용되면 다발골수종 환자의 초기 병기설정과 예후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 교수팀은 새로 진단받은 다발골수종 환자의 종양부하를 반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전신 MRI 영상 기반의 점수 모델을 새롭게 개발했다. 즉 암세포의 수, 종양의 크기, 신체에서 암의 총량을 환자군을 나누어 비교해 개발했다.

 

 

새로운 점수 모델은 다발골수종의 핵심 3가지 영상 소견인 ▲배경 골수 패턴 ▲국소적 골병변의 개수 ▲골수 외 또는 골수 주변 병변의 유무와 개수를 통합한 점수 체계이다.

 

139명의 후향적 다발골수종 환자군에서 본 점수 모델을 개발하고 판독자간 일치도를 분석했으며 높은 수준의 재현성을 검증했다. 이어 39명의 전향적 다발골수종 환자군에서 본 점수 모델을 적용한 결과, 전신 MRI 점수가 상승함에 따라 기존 및 개정된 국제병기분류 체계(ISS;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Revised ISS)의 병기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 임상적 효용성을 함께 입증했다.

 

김동균 교수는 “국제골수종연구그룹의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전신 MRI 영상 검사가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잡고 있는데 기존 검사 체계와 함께 전신 MRI를 활용해 비정상적인 형질세포의 증식으로 인한 골수종의 위치와 확산 정도를 영상을 통해 높은 민감도로 식별하고 전신 종양 부하를 체계적으로 정량화하면 초기 병기설정에 도움을 주고 위험도 분류, 예후 예측을 가능하게 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다발성 골수종은 과증식한 형질세포가 골수에 축적되어 주로 뼈를 침범해 골절, 빈혈, 신부전, 고칼슘혈증 등 심각한 증상을 동반하는 난치성 질환이다.

 

M단백(이상혈청단백)이라 하는 비정상적 면역 단백을 생성해 정상 면역체계를 파괴한다. 다발골수종의 발병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고령화와 독성물질 노출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중장년층 환자가 대다수로 평균 발병 연령이 65~70세이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