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전립선암 로봇수술, 개복수술보다 ‘완벽’

정밀박리 가능·타 장기 손상 최소화로 재발위험 낮고 예후도 좋아
분당서울대병원 이상철 교수팀, 환자 3,300여명 수술 결과 비교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18/02/19 [09:27]

전립선암 로봇수술, 개복수술보다 ‘완벽’

정밀박리 가능·타 장기 손상 최소화로 재발위험 낮고 예후도 좋아
분당서울대병원 이상철 교수팀, 환자 3,300여명 수술 결과 비교

이상철 기자 | 입력 : 2018/02/19 [09:27]

▲ 이상철 교수

【후생신보】  국내 연구진이 전립선암 수술에서 로봇수술이 개복수술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 이상철 교수팀은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 근치적 전립선절제술을 받은 환자 3,324명을 대상으로 개복수술과 로봇수술의 수술결과를 비교한 결과,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암 조직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결과가 개복수술 보다 우수하다고 밝혔다.

 

서구적 식생활과 고령화에 따른 남성 암 발병 증가, 이와 함께 전립선암 선별검사를 위한 전립선 특이항원(PSA)의 도입으로 전립선암의 진단율이 증가하고 있다.

 

전립선암 치료는 수술적 방법인 근치적 전립선절제수술이 가장 효과적이다. 암의 완벽한 제거와 완치를 목적으로 전립선과 그 주위 조직을 절제하는데 절제한 후에는 전립선에서 요도(막요도)로 이어지는 전립선의 끝 부분(전립선 첨단부)에 대해 병리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검사결과 이 부위에서 암세포가 관찰될 수 있는데 이를 두고 절제변연 양성이라고 한다. 이는 암 조직이 불완전하게 절제됐음을 의미하며 수술 후 남겨진 조직에 암세포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좋지 않은 예후를 유발하는 인자로 보고 있다.

 

이상철 교수팀은 2004년부터 2017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전립선 절제수술을 받은 3,324(로봇수술 2,320, 개복수술 1,004)의 환자 자료를 통해 절제변연 양성 발생률을 분석했다.

 

특히 전립선, 신장 등 비뇨의학 수술에 도입돼 활용하고 있는 로봇수술이 절제변연 양성 감소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지 개복수술과 비교했다.

 

연구결과, 전립선 첨단부의 절제변연 양성 발생률이 개복수술군에서는 17.5%, 로봇수술군에서는 12.3%로 로봇수술 환자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즉 로봇수술에서 보다 완벽한 절제수술이 진행돼 암 세포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낮아졌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와함께 전립선 첨단부는 그 형태에 따라 1: 전립선 첨단부가 막요도 전면부와 후면부를 모두 덮는 형태 2: 첨단부가 막요도 전면부만 덮는 형태 3: 첨단부가 막요도 후면부만 덮는 형태 4: 첨단부가 막요도를 덮지 않는 형태로 분류하는데 전립선 첨단부의 형태에 따른 절제변연 양성 발생률에도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개복 및 로봇수술 그룹 모두에서 전립선 첨단부가 막요도의 후면부만 덮고 있는 3형 첨단부를 갖는 경우에 절제변연 양성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군에서는 전립선 첨단부의 형태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개복수술에서는 다른 형태의 첨단부와 달리 3형 첨단부만 절제변연 양성률을 높이는 위험 인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이상철 교수는 전립선 첨단부의 형태가 전립선암 수술 후 종양학적 예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3형 첨단부와 같이 특정 형태를 갖는 환자의 전립선 첨단부를 박리할 때는 보다 세밀한 수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따라서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군에서 절제변연 양성 발생이 감소한 만큼, 전립선암을 로봇수술로 절제하면 종양의 완벽한 제거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상철 교수는 전립선암의 형태나 필요에 따라서 로봇수술을 적용한다면 조직의 정밀한 박리를 유도하고 다른 장기는 손상을 최소화해 결과적으로 암의 재발 가능성을 낮추고 치료 예후는 전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이 교수팀의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세계내비뇨기학회지(Journal of Endo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