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노태호 교수의 알기쉬운 부정맥 이야기 (18)

후생신보 | 기사입력 2015/12/21 [09:10]

노태호 교수의 알기쉬운 부정맥 이야기 (18)

후생신보 | 입력 : 2015/12/21 [09:10]

 

심실조기수축(5)

 

노태호 교수

(가톨릭의대 성바오로병원) 

대한심장학회 부정맥연구회 회장, 대한심장학회 이사, 감사를 지냈고 대한심폐소생협회에서 소생술의 중요성을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저서로 알기 쉬운 심전도 1, 2권, 영구심박동기 시술, 심장부정맥 진단과 치료(공저) 등이 있다. 매년 2월 ‘알기 쉬운 심전도’란 심전도워크숍을 19년째 지속하고 있으며 ‘닥터노의 심장과 부정맥이야기’란 블로그를 운영중이다.

심실조기수축이 자주 나오면 더 위험한가?

 

심실조기수축의 빈도가 높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어쩌다 하나씩 떨어져 드물게 나오는 경우보다, 자주 나오고 두 개 혹은 세 개씩 연달아 나오거나, 혹은 너무 촘촘히 나오는 경우 (바로 전의 정상 수축이후 시간의 여유가 별로 없이 매우 가까이 붙어 나오는 경우로 의학용어로 ‘R on T’라고 한다) 의사들은 걱정을 많이 한다.

 

오래전인 1981년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실조기수축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한 연구가 시행되었다. 심근경색증 발생 후 첫 한 시간 내에 심실조기수축이 관찰된 환자들을, 복잡 심실조기수축을 보였던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5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 같이 복잡 심실조기수축(Complex VPC)을 보였던 군에서 총사망율이 훨씬 높아 심실조기수축의 정도가 심하면 위험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 연구에서 복잡 심실조기수축은, 위에 언급된 대로 R on T, 두개 이상의 연속된 심실조기수축, 여러 형태의 심실조기수축, 정상박동과 심실조기수축이 번갈아 나오는 bigeminal rhythm 등이 포함되었다.

 

 

그림에서 실선은 복잡 심실조기수축(Complex VPC)을 보였던 군이고 점선은 그렇지 않은 군으로 X축의 숫자는 심근경색증 후 시간(년)을, Y축은 사망을 가리킨다. 시간이 흐르며 총사망율의 차이가 발생해 5년 후에는 복잡 심실조기수축군에서 35%의 사망율을, 그렇지 않은 군에서는 20%의 사망율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심근경색증 초기에 심실조기수축의 정도가 심했던 환자는 장기적으로 사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대상이 급성 심근경색증환자로 국한되어 있어 다른 경우에 적용하기 어렵고 또 연구시점이 지금처럼 막힌 심장혈관을 즉시 개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도 못했고 고위험환자의 생존을 증가시키는 삽입형 제세동기(ICD)가 사용되기 전 시대의 연구로서 현 시점에서 이 연구결과를 해석하고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다만 심실조기수축의 정도가 심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다는 사실 정도를 알려주는 것으로 받아들이면 되겠다. 또 현재에는 심실조기수축을 이 연구에서처럼 복잡 심실조기수축 유무로 분류하고 있지 않다.

 

그러면 이런 생각이 든다. 어떡하든 심실조기수축을 줄이면 사망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합리적인 추정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항부정맥 약물을 사용해 심실조기수축을 줄이는 것은 생존 향상과 관련이 없다. 오히려 항부정맥약물을 사용하면 사망이 증가된다. 

대단한 파라독스이다.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심실조기수축을 줄이지만 오히려 사망을 증가시킨다? 사실이다. 기질적 구조적 심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대개의 항부정맥약물은 장기 생존을 감소시킨다. 1989년에 발표된 CAST(Cardiac Arrhythmia Suppression Trial)에서 이러한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그 이후 여러 연구에서 이를 재확인했다. 그 이후 부정맥전문의의 항부정맥약물 사용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대하여는 다음에 설명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Ventricular premature complexes and sudden death after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1981 Aug;64(2):297-305.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부정맥이야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