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골다공증의 약물치료와 최신약제 -3

관리자 | 기사입력 2007/10/01 [10:09]

골다공증의 약물치료와 최신약제 -3

관리자 | 입력 : 2007/10/01 [10:09]
 

리세드로네이트 및 이반드로네이트

 

▲홍성빈 교수<인하의대>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다공증치료에서 1차적으로 사용되어 온 약제로 골 흡수를 억제하며 지속적인 긍정적 뼈 균형을 이루게 된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모든 유형의 골다공증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치밀골과 해면골에서 동일하게 골밀도가 상승되었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공통적으로 p-c-p 결합을 지니며 이에 연결된 r1, r2 측부사슬의 차이로 효능이 달라지게 된다. r1 측부사슬은 뼈의 무기질에 결합하며, 다른 하나는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종류와 강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뼈 표면의 특정구조들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가진다.

 

위장관을 통해 흡수된 대부분의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뼈에 축적되어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를 방해할 뿐 아니라 억제되어 있던 조골세포의 재활성화를 일으킨다. 에티드로네이트와 같은 1세대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달리 2세대, 3세대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나이트로젠을 함유함으로 보다 강력한 골흡수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3세대 비스포스포네이트는 상대적 효능이 5,000-10,000배로 증가되었다.

여기서는 3세대 비스포스포네이트로 구별되는 리세드로네이트와 이반드로네이트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리세드로네이트 

알렌드로네이트보다 늦게 개발된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로서 폐경후 골다공증 예방과 치료, 남성과 여성의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남성골다공증의 치료에 사용되도록 미국 식약청에 의해 승인되었다.

 

척추골절에 대한 예방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북미에서 시행된 vert(vertebral efficacy with risedronate therapy) 연구결과에 따르면 리세드로네이트 5 mg을 3년간 투여하여 요추 골밀도가 5.4%,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1.6% 증가하였으며 새로운 척추골절의 발생은 41%감소하였으며 비척추골 골절은 39% 감소하였다.

 

또한 유럽의 vert 연구 결과에서도 척추골밀도가 5.9%,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3.1% 증가되었으며, 새로운 척추골절의 발생은 49% 감소되었으며 비척추골절의 발생은 33% 감소되었다. 폐경후 초기 골소실 예방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도 리세드로네이트 5 mg을 2년간 경구 투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요추부 골밀도가 약 5.5%, 대퇴골 경부 골밀도가 3% 정도 증가하였다. 고관절골절의 고위험군인 9331명의 여성에서 고관절골절이 전체적으로 30%정도 감소되었으며 이중 골밀도가 낮은 군에서는 40%의 골절감소 효과가 관찰되었다.

 

리세드로네이트는 위장관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복용법은 기존의 알렌드로네이트와 동일하며 공복에 섭취하도록 되어있다.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하루에 프레드니솔론 7.5 mg 이상을 사용하는 29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리세드로네이트 5 mg을 1년간 투여한 경우 요추 골밀도가 2.9%, 대퇴골 골밀도가 1.8% 증가하였고 새로운 척추골절의 발생이 70% 감소하였다.

 

리세드로네이트 주 1회 35 mg 경구투여는 하루 5 mg 투여와 비교해 볼 때 그 효율성과 안정성에 있어서 동일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리세드로네이트 주 1회 35 mg 경구 투여가 폐경후 골다공증치료에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5년간 실시한 위약-대조군 연구에 의하면 리세드로네이트의 장기간 효과는 3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반드로네이트

3세대 비스포스포네인트의 하나인 이반드로네이트는 최근 국내에 경구투여와 정맥주사 방법으로 출시되었다. 경구용은 150 mg로 기존 비스포스포네이트가 주 1회 복용하는데 비해 월 1회로 복용횟수를 감소시켰다. 주사제의 경우 3mg을 3개월에 1회 주사한다.

 

이반드로네이트 2.5 mg을 3년간 매일 복용 시 척추부 골밀도는 5%, 대퇴부 골밀도가  3-4%가 증가되어 기존의 비스포스포네이트와 유사한 골밀도 상승을 보였다. 또한 골교체율은 40-60%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기존 척추골절이 있는 환자에서 임상적 척추골절의 발생을 50% 감소시켰다(p<0.05).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비척추골 골절을 의미 있게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2005년 발표된 mobile (monthly oral ibandronate in ladies) 연구에 의하면 1,609명의 폐경 여성에서 이반드로네이트를 매일 2.5mg씩 2년간 투여한 군과, 1달에 1회씩, 50mg+50mg(50mg씩 2일 연속), 100mg, 150mg을 2년간 투여한 군을 비교한 결과 요추 골밀도 증가가 각각 3.9%, 4.3%, 4.1%, 및 4.9%로서 1달에 1회 150mg을 투여한 군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보였다.

 

간헐적으로 투여하는 정맥주사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iris (intermittent regimen intravenous ibandronate study) 연구에서는 요추 골밀도 t-score가 -2.5 이하인 폐경후 골다공증 여성 520명을 대상으로 이반드로네이트를 2mg씩 3개월 간격으로 정맥 주사한 결과 1년 후 요추골밀도가 5.0% 증가하여 3개월 간격의 정맥주사로도 경구투여와 유사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총 1,395명의 폐경후 골다공증 여성을 대상으로 1년간 이반드로네이트를 정맥주사 또는 경구 투여한 경우 요추 골밀도가 이반드로네이트 2 mg을 2개월 간격으로 정맥 주사한 군에서 5.1%, 3mg을 3개월 간격으로 정맥 주사한 군에서 4.8% 증가하여 2.5mg을 매일 경구 투여한 군의 3.8%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대퇴골 골밀도 증가율도 유사하였다. 

 

최근 발표된 diva study 2년 결과에 의하면 이반드로네이트 정맥 주사가 경구 약제보다 더 나은 골밀도 증가를 보였고 이반드로네이트 2mg씩 2개월 간격으로 주사한 방법 및 이반드로네이트 3 mg씩 3개월 간격으로 주사한 방법간에 서로 차이가 없었다.

 

안정성에 대한 연구에서는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반드로네이트 사용으로 골절치유 및 석회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폐경후 골다공증 여성에서 시행한 골조직검사에서도 정상적인 골질(bone quality)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작용 측면에서 경구용 이반드로네이트에 의한 소화관계 부작용도 위약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달에 한번 투여하는 치료법이 편리할 뿐 아니라 환자의 순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골다공증 예방 목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3개월 간격이 아니라 1년 간격으로 길게 정맥주사법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이반드로네이트 보다 골수억제효과가 낮은 에티드로네이트나 파미드로네이트를 고용량 투여하거나 혹은 신속하게 정맥주사할 경우 신장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와 칼슘이 불용성 복합제를 형성하여 신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반드로네이트의 경우 골흡수억제 효과가 강력하여 더 적은 용량으로 동일한 골흡수억제 효과가 나타나므로 수액을 혼합하지 않고 10-20 초 내 직접적으로 정맥주사 하여도 신독성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골다공증치료는 무증상기간이 길어 환자의 순응도가 무엇보다 중요한 약제이며 이에 따라 치료의 결과가 달라진다는 보고가 많다. 따라서 적절한 골절 예방효과를 지닌 약제에서 순응도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하겠다.


 

 

 

refeence

1. zoehrer r, roschger p, pasCHAlis ep, hofstaetter jg, durchschlag e, fratzl p,

phipps r, klaushofer k.  effects of 3- and 5-year treatment with risedronate on bone mineralization density distribution in triple biopsies of the iliac crest in postmenopausal

women. j bone miner res. 2006 jul;21(7):1106-12.

2. taggart h, bolognese ma, lindsay r, ettinger mp, mulder h, josse rg, roberts

a, zippel h, adami s, ernst tf, stevens kp.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safety of risedronate: a pooled analysis of 9 clinical trials. mayo clin proc. 2002 mar;77(3):262-70.

3. delmas pd, adami s, strugala c, stakkestad ja, reginster jy, felsenberg d, christiansen c, civitelli r, drezner mk, recker rr, bolognese m, hughes c, masanauskaite d, ward p, sambrook p, reid dm. intravenous ibandronate injection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osteoporosis:one-year results from the dosing intravenous administration study. arthritis rheum. 2006 jun;54(6):1838-46.

4. miller pd, mcclung mr, macovei l, stakkestad ja, luckey m, bonvoisin b, reginster jy, recker rr, hughes c, lewiecki em, felsenberg d, delmas pd, kendler dl, bolognese ma, mairon n, cooper c. monthly oral ibandronate therapy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1-year results from the mobile study. j bone miner res. 2005 aug;20(8):1315-22

5. chesnut iii ch, skag a, christiansen c, recker r, stakkestad ja, hoiseth a, felsenberg d, huss h, gilbride j, schimmer rc, delmas pd; oral ibandronate osteoporosis vertebral fracture trial in north america and europe (bone).  effects of oral ibandronate administered daily or intermittently on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osteoporosis. j bone miner res. 2004 aug;19(8):1241-9.

6. delmas pd, recker rr, chesnut ch 3rd, skag a, stakkestad ja, emkey r, gilbride j, schimmer rc, christiansen c. daily and intermittent oral ibandronate normalize bone turnover and provide significant reduction in vertebral fracture risk: results from the bone study. osteoporos int. 2004 oct;15(10):792-8.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