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극소 미숙아 항생제 사용 “꼭 필요할 때만 써야”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연구팀, 해외 저널에 산모-아기 어어지는 감염 경로 및 요인 보고

문영중 기자 | 기사입력 2024/10/17 [10:26]

극소 미숙아 항생제 사용 “꼭 필요할 때만 써야”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연구팀, 해외 저널에 산모-아기 어어지는 감염 경로 및 요인 보고

문영중 기자 | 입력 : 2024/10/17 [10:26]

【후생신보】1500g 미만으로 태어난 극소 미숙아는 대개 면역 체계가 불완전한 탓에 세균 감염에 취약하다. 이 때문에 조산 및 감염 위험이 있는 경우 미리 엄마에게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갓 태어난 아기에게 항생제를 쓰기도 한다.

 

문제는 무분별하게 사용된 항생제는 산모에게는 항생제 내성을, 아기에게는 여기에 더해 괴사성 장염, 신경발달 장애 등과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이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연구팀은 2013~2020년 사이 병원균이 확인된 산모에서 출생한 극소 미숙아 173명을 감염 그룹(45명)과 미감염 그룹(128명)으로 나누어 감염 주요 경로와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을 분석,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IF=4.6)’ 최근호에 발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산모의 혈액과 소변, 질에서 채취한 병원균을 확인한 결과 대장균이 30.6%로 가장 흔했다. 이어, 칸디다균(29.5%), B군 연쇄상구균(16.8%), 클렙시에라균(12.1%), 엔테로코커스균(11.6%) 등의 순 이었다,

 

예상할 수 있듯이 아기들도 산모와 같이 대장균(35.6%)에 가장 많이 전염됐다. 다음은 칸디다균(20.0%), B군 연쇄상구균(15.6%), 엔테로코커스균(15.6%), 클렙시에라균(8.9%) 이었다.

 

주요 감염 경로는 질 이었다. 대장균에 감염된 극소 미숙아의 30.2%는 출산시 산모의 질을 통해 감염됐다. 산모의 혈액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을 때는 아기에게 100% 전염되는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연구팀은 또 감염에 영향을 준 요인도 분석했다. 그 결과 산모의 경우에는 백혈구 수치가 높거나 융모양막염,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이 있을 때 아기에게 감염 전파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구의 경우 혈액 내 수치가 15,000/µL를 초과한 경우에는 아기 전파 위험이 2.62배 상승했다. 태반의 융모막과 양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융모막염이 있는 경우에는 10.54배나 올랐다. 조산을 막으려 출산 전 자궁경부를 실로 묶는 결찰술을 했을 때에도 4.44배까지 감염 전파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산모로부터 아기에게 균 전달이 된 그룹은 균 전달이 되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3배, 뇌실내출혈 발생률은 6배 각각 상회했다.

 

산모의 출산 전 과거력상, 양막이 조기 파열되거나 융모양막염이 있는 경우, 자궁경부결찰술을 받은 이력, 백혈구 수치 등을 종합해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는 게 연구팀의 권고다.

 

또 극소 미숙아의 경우에도 출생 후 세균 배양검사나 염증 반응 등을 확인하고 신중하게 항생제를 투여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장윤실, 안소윤 교수는 “산모에서 극소 미숙아로 이어지는 감염 경로를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항생제의 남용을 막고 꼭 필요할 경우에 항생제를 써서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 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국소 미숙아, 항생제, 장윤실 교수, 삼성서울병원, 대장균, 사이언티픽 리포츠, 칸디다균, 연쇄상구균, 백혈구, 융모양막염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