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자 치료, 중입자 치료보다 더 효과적치료부위 암 재발 예방 효과 양성자가 31%↑…․OS․PFS 차이 없어
|
【후생신보】양성자와 함께 차세대 꿈의 암 치료기로 불리는 중입자 치료 중 어떤 걸 선택해야 하나? 라는 고민이 없지 않다.
이 같은 물음에 길라잡이 역할을 해 줄 의미 있는 메타분석 결과가 최근 발표, 눈길을 끌고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보험급여 적용 대상인 양성자의 승리로 보인다. 도입 초기로 아직 급여도 되지 않는 중입자 치료와 달리 효과는 물론 안전성까지 이미 검증 받은 이유 때문으로 풀이된다.
삼성서울병원 방사선종양학과 박희철·이태훈 교수, 충북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유규상 교수, 제주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강표 교수, 건국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장정윤 교수 및 싱가포르 국립암센터, 일본 국립암센터, 대만 장경병원 양성자치료센터 공동 연구팀은 최근 ‘캔서메디신(Cancer Medicine)’에 양성자 치료와 중입자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메타분석으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를 위해서 연구팀은 양성자 치료와 중입자 치료를 주제로 2023년 6월까지 발표된 논문 3,983건 가운데 메타분석에 필요한 환자에 대한 정의와 치료 방법, 방법에 따른 차이, 치료 결과까지 모두 다룬 연구 18건을 엄선했다. 이를 통해 양성자 치료를 받은 환자 947명, 중입자 치료 환자 910명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중입자와 비교해 양성자는 종양 국소제어 효과가 더 우수했다. 국소 제어는 치료받은 부위에서 암이 재발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양성자로 치료받은 부위에서 암이 다시 발생할 위험이 중입자보다 31%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것. 암 종별로 하위 분석을 진행했을 때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반면, 치료의 성패를 가늠하는 또 다른 지표인 전체 생존율(OS), 무진행 생존율(PFS), 부작용은 두 치료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두 치료법 모두 입자선 치료란 공통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다. ‘브래그피크’가 특징인 입자선은 일정 속도로 끌어올린 양성자나 중입자가 몸 속 암세포를 타격하는 순간 에너지를 방출하고 사라진다. 암 세포 이외 다른 정상 조직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입자선 치료법을 기대하는 이유다.
탄소를 이용하는 중입자는 더 강한 에너지를 실을 수 있지만 더 무거워 암 타격 이후 잔존선량을 조절하는 게 쉽지 않다는 게 과제다.
반면, 수소에 기반한 양성자 치료는 2019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25만 명 이상이 받았다는 통계가 있을 만큼 안전성과 안정성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가 많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도 양성자치료는 선행 연구가 많아 치료결과와 부작용 모두 예측 가능한 범위였지만, 중입자치료는 도입 단계여서 메타분석에 필요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게 한계로 거론됐다.
이번 논문의 공동 교신저자인 유규상 교수는 “중입자는 도입국가가 많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표준화된 치료모델이 정립되어 있지 않아 양성자와 정확한 비교가 이뤄지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관한 박희철 교수는 “두 치료법 모두 환자를 위해 각각의 쓰임이 있다”면서 “치료법 자체 보다 환자 상태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적정 진료가 더 중요한 만큼 이후 연구로 올바른 치료모델을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서울병원은 지난 2015년 국내 민간병원 중에서는 처음으로 양성자치료기기를 도입한 바 있다. 도입 이후 2024년 4월 기준으로 치료 9만 건을 달성했다. 오전 7시부터 오후 10시까지 2부제로 매일 50건 가까이 치료한다. 비슷한 시기 진료를 시작한 다른 국가 대비 성장세가 가파르다. 최근에는 면역항암제와 양성자치료를 병합한 치료도 연구 중이다. 입자 방사선 치료 가운데 양성자치료만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다.
중입자 치료기는 지난해 4월 말 국내 최초로 연세암병원이 도입, 운영중으로 전립선암을 시작으로 차츰 적응증을 넓혀 나가고 있다.
|
|||
|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