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생신보】 의료정책 정상화와 국민건강 수호를 위해 자발적으로 '동맹휴학'을 진행하고 있는 의대생들이 정부와 끝까지 투쟁하겠다는 의지를 재 확인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지난 2일 개최한 임시총회 결과를 공개하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3일 밝혔다.
교육부는 의과대학 정원 증원 등 정부 정책에 반대하고자 의대생들이 맺은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아니라며 의대가 허가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이날 임총에서 의대·의전원 대의원은 만장일치로 '제출한 휴학계가 대학에서 반려·보류될 경우 대의원 총회에서 논의한 기한까지 휴학계가 승인되도록 보완해 제출'하기로 했다. 불가능한 경우 '휴학 상태에 준하는 단체 행동을 진행'한다.
다른 안건도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했다(찬성 38표, 기권 1표). 이에 따라 의대협은 '휴학계 절차 준수 여부에 따라 단위 간 복귀와 구제 상황이 달라지면 모든 단위(대학) 상황이 통일될 때까지 현재 단체 행동을 유지'한다.
의대협은 이날 대회원 서신에서 "펜을 놓고 가운을 벗고 교실과 병원을 떠난 의대생 의지는 꺾이지 않는다. 의대협은 의료 정책 정상화와 국민 건강 수호를 위해 절대 멈추지 않겠다"며 "그 무엇도 학생의 순수한 분노를 막을 수 없다"고 했다.
의대협은 "정부는 불합리하고 강압적인 조치로 학생이 휴학할 권리를 침해했다. 개인의 휴학은 자유 의지로 결정했다. 동맹휴학은 휴학 사유가 될 수 없다는 비상식적인 발언은 헌법과 학칙이 보장한 개인의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했다.
정부가 의대생 자유권을 지속적으로 침해하면 "의대협에서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 그 책임을 묻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국 40개 의대와 의전원은 하나 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우리는 서로가 서로를 지키는 팔랑크스를 이뤄 전진하겠다. 의대협은 항상 학생을 지지하고 앞으로도 여러분의 권익 보호를 위해 힘쓰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의대생, 의대협, 의대증원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