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생신보】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5일 10시 코리아나호텔(서울특별시 중구 소재)에서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3~’27)」(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최했다.
공청회는 심뇌혈관질환 관리 중요성에 대한 이해영 단장(심뇌혈관질환 정책 2.0 기획단)의 발표와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안) 비전 및 추진방향에 대한 보건복지부 질병정책과장의 발표 이후, 유관학회 전문가가 참여하는 패널토의와 종합토의로 진행됐다.
이번 공청회에서 논의되는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은 2017년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2번째 종합계획이며, 법률 제정 이전에 2차례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1기 ’06~’10, 2기 ’11~’15)을 수립한 바 있다.
2차 종합계획(안)에서는 신속한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경로 확보, 진료자원 기반(인프라)의 최적의 연계, 환자 중심의 선행질환관리 체계 구축 등을 목표로 5개 영역, 총 15개 추진 과제를 담았다.
환자 중심의 의료 이용체계 확보,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치료 대응체계 확보, 지역사회 예방·관리체계 강화, 과학적 정책 기반 확립, 수평적 협력 거버넌스 구축등 5개 영역이다.
1차 종합계획(’18~’22)과 비교하여 2차 종합계획은 지난 1월 발표한 필수의료 지원 대책 이행 차원에서 골든타임이 있는 급성기 치료 대응에 중점을 두고, 응급증상에 대한 환자 인지 역량을 제고하고 사전에 의료 이용을 준비할 수 있는 정보 제공 등 환자 중심 의료이용체계 구축과 권역심뇌혈관질센터의 전문치료 역량 제고, 권역센터를 보완할 심뇌혈관질환 인적네트워크 신규 도입 등 문제해결형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치료 대응체계 확보 과제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은 공청회 개회사를 통해 “심뇌혈관질환의 골든타임을 사수할 수 있는 최적의 인력 활용 방안, 치료 접근성, 편의성을 높이는 이용체계 개선 방안 등 심뇌혈관질환의 전주기에 대응하는 주요 과제들에 대해 충분한 의견 수렴과 보완을 거쳐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후생신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심뇌혈관질환, 응급의료, 중증의료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