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항균제 내성 '심각하다'

질병 다양화 · 인구 노령화등이 원인
항균제내성연구회 주관 세미나서 지적

권문수 기자 | 기사입력 2005/03/28 [18:39]

항균제 내성 '심각하다'

질병 다양화 · 인구 노령화등이 원인
항균제내성연구회 주관 세미나서 지적

권문수 기자 | 입력 : 2005/03/28 [18:39]

 항균제를 지나치게 사용해 이에 대한 내성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지적됐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이 지난 29일 질병관리본부 국제 회의실에서 보건관련종사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항균제 내성균의 실태 및 국가적 감시 관리 방안’을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이같이 지적됐다.

 

 이날 세미나는 질병관리본부 연구진, 유관기관, 관련학계, 산업계전문가 24명으로 구성된 산-학-연 합동 모임인 항균제내성연구회(회장 김봉수)가 주관했다.

 

 연구회에 따르면 최근 질병의 다양화, 치료의 전문화 및 인구의 노령화로 많은 항균제가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적절하지 못한 항균제 사용으로 인해 항균제 내성이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항균제 내성이 매우 높아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적 감시, 관리대책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날 김미나 울산대의대 교수는 그람양성구균의 최후 치료제인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이 1992년 국내 처음 보고된 이래 계속 증가추세이며, 국내 mrsa 유병율은 세계적으로 높고 1999년 반코마이신 중등도내성 황색포도상구균(visa)의 출현으로 국내 vrsa 출현과 확산 가능성을 지적했다.

 

 또한 지역사회 획득성 뇌수막염 원인균의 수위를 점하고 있는 폐렴구균에서 반코마이신 관용균의 국내 출현은 아직 백신이 일반화되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위협적일 수 있음을 경고했다. 

 

 이복권 국립보건연구원 과장은 “1991년부터 2002년동안 분리된 세균성이질균에 대한 esbl 생성 시험을 한 결과 21균주가 esbl 생성 균주로 확인됐다”고 밝히고  “2004년 11월 충주에서 집단 발생한 세균성유행은 제3세대 세파계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esbl 생성 이질균에 의해 처음 유행된 사례로 유형은 ctx-m형이었다”고 발표했다.

 

 김성순 국립보건연구원의 면역결핍연구실장은 99년~2004년까지 총 267명의 항레트로바이러스제 미치료군의 내성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핵산 및 비핵산계열의 역전사효소저해제 및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에 대한 내성률이 각각 5%, 1%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치료실패자집단 45명 중 71%가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이 있을 것으로 조사돼 지속적인 내성주 감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정석훈 고신의대 교수는 국내에서 분리되는 그람음성간균의 esbl 생성율은 외국에 비해서 높으며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ctx-m형, per형, veb형 등 새로운 non-tem, non-shv esbl을 생성하는 균주의 분리가 보고되고 있어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진홍 카톨릭의대 교수는 원내 내성균 감염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는 항생제 조정과 적절한 사용을 위한 체계화된 항생제 조절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철저한 감염관리가 수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봉수 국립보건연구원 내성세균과장은 국내 항균제 내성의 발생률이 매우 높아 현재의 산발적인 연구로는 중점적인 문제해결이 어려워 국가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내성 감시사업과 내성정보를 통합적으로 구축해 병원 및 지역사회에 내성정보를 제공함으로 중재적 역할을 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내성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가 정책마련이 매우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