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소아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명확한 음성 개선 확인

한림대동탄성심병원 박일석․김희진 교수팀, 편도․아데노이드 수술 후 음성변화 연구

박원빈 기자 wbp@whosaeng.com | 기사입력 2021/04/23 [13:04]

소아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명확한 음성 개선 확인

한림대동탄성심병원 박일석․김희진 교수팀, 편도․아데노이드 수술 후 음성변화 연구

박원빈 기자 | 입력 : 2021/04/23 [13:04]

▲ 박일석 교수, 김희진 교수     

【후생신보】여러 논문을 통해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이 음성에 큰 이상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가 있었지만 음성장애가 있던 아동이 수술 후 별다른 음성치료 등을 받지 않고도 구강호흡이 사라지며 오히려 음성이 개선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이비인후과 박일석․김희진 교수(공동 교신저자),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이비인후과 이중섭 교수 연구팀은 ‘편도․아데노이드 문제를 가진 소아에서 발성장애 유병률 및 수술이 음성에 미치는 영향(Prevalence of Dysphonia in Children with Adenotonsillar Problems and the Impact of Surgery on Voice)’ 연구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 논문은 SCIE급 저널인 미국이비인후과학회지(The Laryngoscope) 3월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에서 편도․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한 절제술을 받은 만 3~12살 아동 1197명 중 음성장애가 있는 91명(7.6%)을 대상으로 전문 음성치료사에 의한 수술 전후 음성분석을 시행했다.

 

이중 51명의 아동이 수술 4~6주 후 1차 음성검사를 받았고, 22명은 수술 후 3개월 뒤 2차 음성검사에도 응했다. 분석결과 구강호흡 비율은 수술 전 94.1%(48명)에서 1차 검사 시 7.8%(4명)로 감소했고, 2차 검사에서는 0%로 나타났다. 

 

검사 대상 아동들은 수술 전과 수술 후 목소리를 얼마나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음성사용지수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아동의 음성상태를 보호자 및 음성치료사가 평가하는 주관적 척도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 장애지수가 감소했고, 음성에서 성대의 진동, 주파수, 진폭, 잡음 등을 평가하는 음질측정기기(MDVP)를 이용한 객관적 평가에서도 전반적인 음성 개선이 확인됐다.

 

아동의 알레르기성비염과 편도염 여부는 수술 후 음성 개선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고, 흥미로운 점은 많은 부모가 수술 전 자녀의 음성장애 여부를 알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수술 전 음성장애 여부를 확인하고, 5분간의 짧은 시간 동안 음성환경을 개선하는 교육을 시행한 것 또한 아동의 음성개선에 도움이 된 요인일 것으로 분석됐다.

 

박일석 교수는 “편도․아데노이드 절제술 후 음성 변화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 전문 음성치료사의 정확한 평가를 통해 우려와 달리 수술 후 음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최근 전동식 미세절삭기로 불리는 특수 의료장비로 편도조직만 제거함으로써 정상조직을 보호하는 ‘전동식 피막 내 편도․아데노이드절제술(PITA)’ 시행 등으로 수술 후 코골이, 구강호흡, 편도선염 등이 사라져 음성 개선에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희진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편도․아데노이드가 비대한 소아가 음성장애를 겪는 비율이 7.6%로 나타나 일반 소아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고, 아동의 음성 문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며 “소아의 음성장애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대부분 소리 지르기, 큰소리 내기, 기침, 헛기침 등 음성의 과도한 사용 혹은 잘못된 사용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음성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생활방식의 변화를 통해 아이들의 목소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이비인후과, 박일석교수, 김희진 교수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