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코로나19 전 국민 대상 검사 필요

강기윤 의원, "신속진단키트, 민감도와 특이도 PCR 방식과 큰 차이 없어”

박원빈 기자 | 기사입력 2020/09/11 [10:11]

코로나19 전 국민 대상 검사 필요

강기윤 의원, "신속진단키트, 민감도와 특이도 PCR 방식과 큰 차이 없어”

박원빈 기자 | 입력 : 2020/09/11 [10:11]

【후생신보】 코로나19가 여전히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민을 대상으로 검사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은 최근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항원 및 항체, 전문가용)의 정확도가 결코 낮지 않으며 PCR 방식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조속히 도입해 전 국민들을 대상으로 검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8일 신속진단키트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져 활용이 어렵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질병관리본부 주장대로 코로나 확산 초기에는 중국산 신속진단키트의 정확도가 5.4%에 그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신속진단키트의 정확도 와 효용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 바 있었다.

 

하지만 이달 국내 업체가 미국 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신속진단키트는 승인 과정에서 진행된 성능 평가에서 ‘민감도 97%’와 ‘특이도 100%’를 기록하여 승인 기준인 ‘민감도 90%’와 ‘특이도 95%’를 넘어서며 민감도와 특이도가 95% 이상인 PCR 방식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PCR 방식이라도 마른기침, 콧물이 나오지 않는 무증상 환자의 경우 바이러스 검체 추출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검체를 추출하더라도 실제로 존재하는 바이러스양이 충분하지 않아 정확도가 낮게 나올 수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코로나 대응 지침’에 따르면, ‘증상이 나타난 후 9일 후에 호흡기 검체에서 배양될 수 있는 바이러스가 거의 없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어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실시한 PCR 검사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항체 검사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항체의 검출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시기에 따라 항체 검사 정확도가 PCR보다 높을 수 있다. 즉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하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무증상 감염자들을 고려하여 PCR 검사와 항체 검사의 병행을 권고한 바 있으며,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무증상 감염자 식별을 위해 신속진단키트를 사용한 바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항체 신속진단키트가 방역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내용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신속진단키트 검사는 PCR 방식처럼 별도의 고가 분석 장비가 필요하지 않으며 기존 분석 시간인 6시간을 15분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8만원의 PCR 검사비용을 1만원이라는 싼 비용으로 실시할 수 있다.

 

특히 PCR 방식은 우리나라 전 국민이 검사를 하려면 2년이라는 시간이 걸리지만 신속진단키트는 한 달 이내로 가능하다. 비용이 싸기 때문에 2주 간격으로 1~2차 검사를 한다면 정확도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강 의원은 “무증상 감염자가 33%에 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체 인구수를 고려했을 때 최대 1,700만명이 무증상 감염 상태일 수도 있으며 무증상 감염자를 선별하기 위해선 신속진단키트가 필요하다”며 “신속진단키트를 국내에 조속히 도입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1~2차 선별검사를 한 후 필요한 사람의 경우 PCR 확진 검사까지 병행한다면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항체검사를 할 경우 혈장치료를 위한 공여자를 특정할 수 있는 큰 이점도 존재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 해 인플루엔자 환자가 240만명, 감기 환자는 2510만명에 달한다”며 “독감과 감기 유행 시기가 돌아오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19와 상호 선별하여 사회적인 큰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신속진단키트는 조속히 국내에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 코로나19, 신속진단키트, 질병관리본부, FDA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