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메르스 생존자 절반 이상, 완치 후 정신건강에 문제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박사팀, 외상후스트레스·우울증·자살사고·불면증 등 증상 다양
감염자 낙인·가족 사망 등이 영향…코로나19 치료 후 정신건강 문제 간과해서는 안돼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20/06/01 [09:16]

메르스 생존자 절반 이상, 완치 후 정신건강에 문제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박사팀, 외상후스트레스·우울증·자살사고·불면증 등 증상 다양
감염자 낙인·가족 사망 등이 영향…코로나19 치료 후 정신건강 문제 간과해서는 안돼

이상철 기자 | 입력 : 2020/06/01 [09:16]

▲ 이소희 박사                                         ▲ 박혜윤 교수

【후생신보】  메르스 생존자는 완치 후에도 정신건강에 문제를 가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코로나19 치료 환자도 정신건강을 살펴봐야 할 근거를 제시됐다.

 

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소희 박사팀(신형식, 서울대병원 박혜윤·박완범, 서울의료원 이해우, 단국대병원 이정재, 충남대병원 김정란)은 2015년 메르스 당시 생존자 148명 중 63명의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 결과를 지난 15일 발표했다.

 

이 박사팀의 연구에 따르면 메르스 완치 생존자 34명(54%)는 1년 후에도 한 가지 이상의 정신건강문제를 겪었는데 42.9%가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고 27.0%는 우울증이 있었다. 또한 22.2%는 중등도 이상의 자살사고를, 28%는 불면증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존자들은 감염자에 대한 사회의 낙인을 높게 인지할수록, 감염 당시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외상후스트레스 장애 위험도가 높아졌다.

 

또한 메르스로 가족이 사망했을 때는 우울증 위험이 올라갔다. 과거 정신과적 치료력이 있는 경우에는 두 가지 위험도가 모두 높았다. 감염의 심각도는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메르스와 코로나19는 이환율과 치사율, 정부와 사회의 대처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어 해석에 주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감염증의 심각도 보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감염증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지하는지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이 박사팀은 지적했다.

연구책임자인 이소희 박사는 “코로나19로 환자와 격리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가 장기화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여준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박혜윤 교수는 “감염자에 대한 낙인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감염증 사태에서 사별이나 불안 등 심리사회적 어려움이 있는 환자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면 정신적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박사팀의 이번 연구는 해외 유명 학술지 ‘BMC 공공의료(BMC Public Health)’ 최신호에 게재됐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메르스, 생존자, 완치, 정신건강, 코로나19, 치료 후, 국립중앙의료원, 이소희 박사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