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이수연의 병원산책 -25

| 기사입력 2005/03/21 [11:57]

이수연의 병원산책 -25

| 입력 : 2005/03/21 [11:57]

부활달걀    

                                                          

 부활절과 성탄절에만 고해성사를 보는 발바닥 신자이기에 십계명에 대한 성찰이 부족했던 나는 예수 수난절에 십자가의 예수님을 기리며 저승에 가시어 사흘 만에 부활하신 예수님이 21세기에도 중생들의 큰 빽이 되시어 십자가의 부활을 꿈꾸게 하는 마력에 새삼 몸서리가 쳐진다.

 

 십계명을 하나도 지키지 못한 죄인이 하느님의 용서를 구한다는 것이 얼마나 구차한 짓인지를 성찰하는 기간이 사순절임을 알게 되었다.

 

 부활절은 춘분(금년은 3월20일)이 지나고 첫 만월(음력보름)후 첫 번째 주일(금년은 3월27일)에 지내게 되는데 사순절동안 금육을 해 온 카톨릭 신자들이 부활달걀을 준비하면서 부활절의 축제가 시작된다.

 

 옛날부터 달걀은 봄, 풍요, 다산 등 보이지 않는 생명의 상징이었다.

겉으로는 죽은 듯 보이지만 그 안에는 생명이 깃들어 있어 언젠가는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는 달걀은,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만물이 소생하는 것에 비유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자들이 이러한 의미를 갖는 달걀을 새로운 생명의 기원인 부활과 연관을 맺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로마 시대에 달걀은 마술적인 의미가 있어 죽은 이를 위한 부장품(副葬品)으로 무덤에 넣어지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관습에서 신자들은 그리스도가 영광스럽게 부활한 돌무덤을 달걀에 비유하기도 하였다.

 

 오늘날 아름다운 색깔로 예쁘게 장식된 부활 달걀은 그리스도의 부활을 더욱 기쁘게 맞이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이끈다.

 

 본래 부활 달걀은 승리의 색으로‘죽음을 쳐 이긴 새 삶’을 뜻하는 붉은 색으로 물들여졌었다고 한다.

 

 부활절(부활대축일)에 약간의 색을 칠한 달걀을 맨 처음 사용한 곳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이었으며, 오늘날처럼 부활절에 달걀을 주고받는 관습은 17세기경 수도원에서부터 시작되어 점차 일반에게 퍼져 나가 오늘에 이른 것이다.

 

 옛날부터 사순절 (예수님의 십자가수난 전40일간)동안 가톨릭 신자들 특히 수도원에서는 절제나 보속의 정신으로 짐승 고기뿐만 아니라 물고기나 달걀까지도 먹지 않고, 다만 빵과 마른 채소로 식사를 하는 금육(禁肉) 생활을 해왔다.

 

 그리고 부활절(파스카) 토요일 부활의 종소리가 울릴 때 처음으로 오믈렛이나 반숙된 달걀을 맛보는 기쁨을 누렸다.

 

 그러나 이 계절에는 달걀이 귀해 부유층만 반찬으로 먹을 수 있었고, 대부분의 신자들은 부활절 아침 식사 때에야 비로소 달걀요리를 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여기서 부활의 기쁨과 함께 이웃과 달걀을 선물로 주고받는 좋은 풍습이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한국에도 이러한 풍습이 전래되어 요즈음은 부활 달걀을 예술적이고도 화려한 색상으로 장식하거나 익살스러운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갓 태어난 병아리 모형을 예쁘게 장식하여 바구니에 담아 축하의 선물로 주고받기도 한다.

 

 부활절 밤에 성당에서 나누어 주는 달걀은 교우들이 며칠 전부터 모여서 정성스럽게 그림을 그려 넣은 것들이기에 집으로 와서도 쉽게 입으로 들어가지는 않는다.

 

 달걀을 받으면서 시작되는 부활축제는 50일간 계속되어 예수부활승천 대축일을 지내게 된다.

 

 예수님을 가장 큰 빽으로 모신 신자들은 예수님의 부활을 꿈꾸며 부활절 준비를 한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연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