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무릎 연골 손상 방치하면 관절염 빨리 와요

힘찬병원, 뼈 연골 관리 여부가 백세 건강 좌우한다!

윤병기 기자 | 기사입력 2019/10/18 [11:00]

무릎 연골 손상 방치하면 관절염 빨리 와요

힘찬병원, 뼈 연골 관리 여부가 백세 건강 좌우한다!

윤병기 기자 | 입력 : 2019/10/18 [11:00]

【후생신보】 우리 몸의 뼈와 뼈를 연결해주는 관절은 노화로 제대로 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면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사람이 겪는 통증의 90%가 관절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대체로 체중을 받치는 다리 관절에 가장 많은 통증이 일어나는데, 관절염 통증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무릎은 연골을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하다.

 


◆ 중년에 아픈 무릎, 걱정 없으려면?

 

무릎 뼈 전체를 덮고 있는 연골은 두께가 3mm지만 몸의 하중이나 외부의 충격을 모두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연골은 노화나 외상 등의 이유로 균열이 발생하거나 갈라지고, 얇아질 수 있는데 연골에는 신경이 없어서 손상되어도 초기에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보통 무릎 연골의 손상 범위가 1㎠ 정도 되면 통증을 느끼기 시작하고, 그전에는 관절 운동시 불편함이나 이물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체중부하를 하지 않는 부위는 손상부위가 커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체중부하를 하는 부위가 손상되면 보다 빨리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뼈와 뼈를 감싸고 있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이 나이가 들면서 점차 얇아져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을 입게 된다. 실제 무릎 연골 손상에 의한 통증은 다쳐서 발생하는 외상에 의한 경우보다 시간이 지나면서 퇴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 40대 이후 무릎을 다치지 않아도 자주 아픈 이유는 연골이 약해져 이전과 같은 충격도 더 크게 느끼기 때문이다. 평소에는 괜찮다가 집안 일이나 운동을 무리하게 했다 싶으면 무릎이 아프고, 자주 증상이 반복되는 중년은 무릎 연골 손상을 의심해 봐야 한다. 손상의 진행 정도를 알 수 없는 연골을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연골이 손상되는 환경과 습관을 피하는 것이 좋다. 무릎 연골은 굽히는 동작에 가장 취약하므로 집안일을 할 때 쪼그려앉기, 무릎 꿇고 앉기 등의 자세는 손상 위험이 높다. 바닥보다 의자와 침대를 이용하는 입식 생활이 관절을 아끼는 방법이다. 또한, 체중의 증가는 무릎에 3~4배 하중이 전해지므로 체중 감소도 연골을 지키는 방법이다. 적당한 하체 운동으로 근육과 인대를 강화시키고, 관절을 유연하게 유지시켜줄 필요도 있다.

 
◆ 손상된 연골, 통증 해결하는 올바른 치료는?

 

무릎 연골의 손상이 진행될수록 물리적으로 형태가 변하거나 연골기질 성분이 달라지면서 점차 탄력성을 잃고 두께가 얇아진다. 연골이 마모되면 뼈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막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무릎 뼈끼리 맞닿게 되면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이수찬 힘찬병원 대표원장은 “연골 손상이 시작되면 퇴행성 관절염으로의 진행이 빨라지는 만큼 가능하면 초기에 발견하고 최대한 자기조직을 보존해 관절염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며 “퇴행이 진행되기 전에 연골 손상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손상 정도에 따라 연골을 이식하거나 재생하는 관절내시경 치료가 퇴행성 관절염으로의 진행을 사전에 예방하고 무릎 인공관절이라는 큰 수술의 염려를 없앨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작은 사이즈의 무릎 연골 손상이 있는 경우, 손상된 부위를 자극해 연골의 생성을 촉진하는 미세천공술을 시행한다. 골연골이 없는 무릎 관절뼈에 구멍을 여려 개 만들면 천공된 뼈에서 피가 나게 되는데, 이 피가 굳어 생긴 혈전이 시간이 지나면서 골연골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 넓은 부위의 손상은 체중이 부하되지 않는 부분의 건강한 연골을 떼어서 손상 부위에 이식해주는 자가연골이식술을 시행한다. 건강한 연골을 이식하면 손상된 연골이 주위의 정상연골 강도와 같은 수준까지 회복이 가능한데 손상된 위치에 따라서는 치료가 어려울 수도 있다. 때문에 연골결손이 큰 경우 줄기세포를 연골 결손 부위에 상품화 되어있는 줄기세포 이식술도 시행되고 있다. 다만 줄기세포 치료는 자가줄기세포나 지방줄기세포는 효과가 미미하고, 상품화된 제대혈 줄기세포 치료제의 경우 적용할 수 있는 환자가 매우 한정적이다. 결국 연골 손상이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환되어 무릎 연골이 없어 견디기 힘든 환자들은 인공관절 수술로 관절염 통증을 완화시키고 제대로 보행할 수 있도록 무릎 기능을 되살린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