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유전자가위 ‘Cpf1’ 망막질환 치료효과 확인

혈관내피성장인자·저산소유도인자-1 유전자 조절로 혈관신생 억제
서울의대 김정훈 교수팀, 생체 내 치료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이상철 기자 | 기사입력 2018/06/05 [14:23]

유전자가위 ‘Cpf1’ 망막질환 치료효과 확인

혈관내피성장인자·저산소유도인자-1 유전자 조절로 혈관신생 억제
서울의대 김정훈 교수팀, 생체 내 치료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이상철 기자 | 입력 : 2018/06/05 [14:23]

【후생신보】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가위를 통해 질환유발 유전자를 교정, 병리적 혈관신생을 동반하는 연령관련황반변성 동물모델에서 치료효과를 확인, 여러 질환의 생체 내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리보핵산단백질을 직접 주입하거나 아데노연관바이러스를 통해 조직 내에서 유전자교정 물질을 발현시키는 방식으로 유전자교정 기술의 중개연구를 진행했던 서울의대 김정훈 교수팀(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 단장)은 새로운 형태의 유전자가위인 Cpf1을 이용해 혈관내피성장인자 및 저산소유도인자-1 유전자를 조절함으로써 병리적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치료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팀의 연구 결과(논문명 : CRISPR-LbCpf1 prevents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a mouse model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는 네이처 자매지인 ‘Nature Communications’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전 유전자교정 기술 관련 중개연구 결과는 2017년 네이처 자매지인 ‘Nature Communications’와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 출판사의 ‘Genome Research’에 게재됐다.

 

질환유발 유전자를 교정하는 치료는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 기존에는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의 치료에 혈관내피성장인자를 억제하는 항체 기반 치료제가 주로 사용됐다.

 

현재 임상에서는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혈관내피성장인자를 억제하는 항체 기반 치료제로 Avastin(성분명 bevacizumab), Lucentis(성분명 ranibizumab), Eylea(성분명 aflibercept)가 사용되고 있다.

 

세포 안의 질환유발 유전자를 직접적으로 교정하는 방식의 치료는 유전자교정 기술이 도입되면서 비로소 시도되고 있다.

 

특히 3세대 유전자가위인 CRISPR은 이전 세대에 비해 개발이 용이해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김정훈 교수팀은 유전자가위를 몸 속으로 주입해 목표 기관에 도달시켜 유전자교정 효과를 얻는 생체 내 치료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타진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김 교수팀은 높은 효율 및 특이성을 보이는 Cpf1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질환유발 유전자를 직접 교정, 망막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혈관내피성장인자 및 저산소유도인자-1 유전자에 대한 Cpf1 유전자가위의 유전자교정 효과는 높은 특이성과 효율성을 보였다.

 

이는 원하지 않는 유전자에 작용하는 소위 off-target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원하는 유전자교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전략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김 교수팀이 이전 연구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 리보핵산단백질 또는 아데노연관바이러스에 탑재된 형태의 유전자가위를 통해 망막질환을 포함한 여러 질환의 생체내 치료를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